맨위로가기

학당리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당리 전투는 1951년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한국 전쟁 중 강원도 철원군 학당리 388고지에서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와 중국 인민지원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벨기에군은 388고지에 주둔하며 중공군의 공격을 받았고, 치열한 전투 끝에 유엔군 방어선으로 철수했다. 이 전투에서 벨기에군은 부대 깃발에 "학당리" 표창을 수여받았으며, 참전 용사들의 메달에도 "학당리" 띠가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중공군 춘계공세
    중공군 춘계 공세는 1951년 4월부터 5월까지 중공군이 주도한 한국 전쟁 공세로, 유엔군을 몰아내고 서울을 점령하려 했으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 룩셈부르크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잣골 전투
    잣골 전투는 한국 전쟁 중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인 잣골에서 벌어진 전투로, 철도와 가까워 통신 거점으로 중요했던 잣골을 방어하기 위해 벨기에군이 주둔하며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 벨기에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벨기에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중공군 춘계공세
    중공군 춘계 공세는 1951년 4월부터 5월까지 중공군이 주도한 한국 전쟁 공세로, 유엔군을 몰아내고 서울을 점령하려 했으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 1951년 10월 - 1951년 영국 총선
    1951년 영국 총선은 노동당 애틀리 정부가 보수당 처칠에게 패배한 선거로, 노동당이 득표율에서 앞섰음에도 소선거구제로 인해 의석수에서 뒤쳐져 보수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정권교체를 이루고 윈스턴 처칠이 다시 수상이 된 영국 정치사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951년 10월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학당리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한국 전쟁
전투명학당리 전투
날짜1951년 10월 9일 - 1951년 10월 13일
장소강원도 철원과 평강군 사이 391 고지
결과유엔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유엔군
벨기에
룩셈부르크
미국
교전국 2중화인민공화국
지휘관
유엔군로버트 소울
노베르트 쿨스
조르주 비바리오
중국예젠민
부대
유엔군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중국제141사단
병력 규모
유엔군560명
중국여러 개의 대대
피해 규모
유엔군사망 10명, 부상 14명
중국사망 98명 이상, 포로 4명
관련 정보
기타map_type: North Korea
campaignbox:

2. 전투 이전 상황

코만도 작전의 연장선상에서 학당리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학당리는 남북으로 1,500미터 가량 뻗어 있으며, 사방 수백 미터에 걸쳐 평원을 내려다보는 고립된 능선이다. 바위가 많고 엄폐물이 전혀 없는 지형이다. 언덕의 북쪽 끝이 가장 가파르고 높으며, 중앙 부분은 남쪽 극단에 있는 매우 가파른 바위 노두 앞에서 평평해진다.[7] 미국 육군은 이곳을 391고지라고 불렀고,[7]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공식 역사에서는 388고지라고 불렀다.[8][9]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는 1951년 10월 10일 오후 2시경 학당리에 도착하여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32] 이 지역은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의 경계선 사이에 있는 비무장 지대 약 6.44km 지점이었다.[10] 벨기에 대대는 병력이 부족하여 56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많은 병사들이 귀국했고 보충 병력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33] 룩셈부르크 파견대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33]

학당리에 위치한 벨기에군 지휘 텐트. 13일 주 공격 당시 중국군에 의해 잠시 점령당했다.

2. 1. 지리적 배경

388고지는 강원도 철원군 중강리 일대(38°-20′-22.6″N / 127°-15′-17.6″E)에 위치해 있다.

388고지는 남북으로 약 1.5km 뻗어 있는 고립된 능선으로, 사방이 수백 미터의 평지로 둘러싸여 있다. 대부분 암석 지형으로 엄폐에 용이하며, 북쪽 끝은 가장 가파르고 높은 지역이다. 중앙 지역은 고원 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최남단 지역의 암반 노두 직전에 위치한다.[7][8][9]

2. 2.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는 1951년 10월 10일 오후 2시경 학당리에 도착했다.[32] 벨기에 대대는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의 경계선 사이에 있는 비무장 지대 약 6.44km 지점인 학당리에 도착하여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10] 이 지역은 미국 65 보병 연대가 담당하는 곳이기도 했다. 벨기에 대대 도착 직후 C 중대가 북쪽 봉우리에 자리 잡았고, B 중대는 중앙 고원의 북쪽 구역에 참호를 파고 대기했다. 남쪽 고지는 중화기중대가[34] 담당했는데, 이 지역은 대대의 다른 부대와 약 300m에서 400m 정도 떨어져 있었다.[34]

당시 벨기에 파견대는 병력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일반적인 분견대는 900명 정도였으나, 벨기에 파견대는 56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1951년 2월부터 한국 전쟁에 참전한 많은 병사들이 귀국했고, 보충 병력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33] 룩셈부르크 파견대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33]

3. 전투 경과

학당리 전투는 1951년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학당리 일대에서 벌어진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와 중공군 사이의 전투이다.

1951년 10월 10일, 벨기에군은 388고지에 도착하여 중공군의 포격과 박격포 공격을 받았고, 11일 밤에도 공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35][36]

10월 12일 이른 아침, 소규모 중공군 공격이 여러 차례 있었으나 모두 격퇴되었다. 오전 3시 45분, 중공군 정찰대가 중화기중대를 공격했으나 미군 포격 지원으로 격퇴되었다. B 중대 정찰대는 488고지를 점령하기도 했다. 낮 동안 중공군 소대가 벨기에군 후방에 침투하기도 했으며, 오후 11시 30분 짙은 안개가 걷히면서 중공군의 주 공격이 시작되었다.[37][15][38][16]

10월 13일, 중공군은 중화기중대에 대한 주 공세를 시작했다. B 중대와 중화기중대도 공격을 받았고, 중공군은 벨기에군 대대 본부까지 일시 점령했다. 그러나 치열한 전투 끝에 중공군은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다. 오전 2시 중화기중대에 대한 새로운 공격이 있었으나 오전 4시경 격퇴되었고, 벨기에군은 모든 진지를 탈환하고 317고지를 다시 점령했다. 벨기에군 전선에서는 많은 수의 중공군 시체가 발견되었다.[39][40][41]

코만도 작전폴차지 작전 당시 중국 제141사단의 병사들.

3. 1. 1951년 10월 10일 - 11일: 초기 상황

388고지 도착 직후부터 벨기에군은 중공군의 76mm 포와 박격포 공격을 받았다.[35] 이 공격으로 벨기에군 병사 1명이 사망했고, 몇몇 병사들이 부상을 입었다.[35] 10월 10일 저녁, 중공군 정찰대가 B 중대 진지를 공격했다. 이 지역을 사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미 제3보병사단 사령관 로버트 H. 소울 소장은 헬리콥터를 타고 학당리 진지를 방문했다.[36] 10월 11일 밤, 벨기에군은 인접한 317고지에서 날아오는 중공군의 60mm 박격포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다.[36]

3. 2. 1951년 10월 12일: 전투 발발

1951년 10월 12일 이른 아침, 소규모 중공군의 공격이 여러 차례 있었으나 모두 격퇴되었다. 오전 3시 45분, 기관총 지원을 받는 중공군 정찰대가 중화기중대를 공격했다. 105mm 및 155mm 포를 동원한 미군의 포격 지원으로 중공군을 격퇴했다.[37][15] 이 공격으로 벨기에군 병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는데, 부상자 중 2명은 카투사 대원이었다.

오전 8시부터 오후 3시까지 B 중대 정찰대가 488고지(팔리봉)을 점령하고 중공군 관측소로 사용했다. 다른 정찰대는 317고지에서 파괴된 중공군 탄약고를 발견하고 학당리로 복귀했다.[38][16] 낮 동안 5~10명으로 구성된 중공군 소대 여러 개가 벨기에군 후방에 침투했다.[16]

오후 11시 30분, 짙은 안개가 걷히면서 중공군의 주 공격이 중화기 중대에 시작되었다.[16]

3. 3. 1951년 10월 13일: 중공군 주 공세

중국군중국어의 주 공세는 1951년 10월 12일 오후 11시 30분에 중화기중대를 향해 시작되었다. 중공군 부대는 철조망을 넘어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의 정찰 부대 최전선을 향해 은밀하게 접근했다. 철조망에는 기관총과 조명탄이 설치되어 있어 벨기에군은 이를 이용해 중공군을 공격할 수 있었다.[39] 이와 동시에 B 중대와 중화기중대도 격렬한 공격을 받았다. 중공군은 벨기에군 대대 본부까지 일시적으로 점령했다. 치열한 전투로 중공군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날이 밝을 무렵, 단 4명의 중공군 병사만 살아남아 포로가 되었다.[40]

오전 2시, 중화기중대를 향한 중공군의 새로운 공격이 이어졌다.[41] 그러나 오전 4시경, 주 공격은 격퇴되었고 벨기에군은 모든 진지를 탈환했다. 정오에는 317고지를 다시 점령했지만, C 중대는 팔리봉에서 기관총과 박격포 공격을 받았다. 안개가 걷힌 후 벨기에군 전선에서는 98구의 중공군 시체가 발견되었는데, 실제 피해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4. 전투 결과 및 영향

학당리 전투 결과, 벨기에군은 미군 제3보병사단의 명령에 따라 유엔군 방어선으로 철수하여 362고지에 배치되었다.[40] 벨기에군은 철수 도중 중공군의 격렬한 포격을 목격했다.[42] 이후 벨기에군은 참전 용사들에게 학당리 훈장을 수여했다.[44]

일부 언론에서 학당리 전투를 화살머리고지에서 벌어진 전투라고 보도했으나, 이는 전투 지역 조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오보이다. 학당리 전투가 벌어진 388고지와 화살머리고지(281고지)는 서로 다른 곳이다.

벨기에군은 학당리 전투의 공로로 부대 깃발에 "학당리" 표창을 받았으며,[21] 현재 벨기에 육군 제3 공수대대가 보관 중이다.[21] 참전 용사들의 참전 메달에는 "학당리" 띠가 추가되었다.[22]

4. 1. 벨기에군의 철수와 피해

미국 제3보병사단의 명령에 따라 벨기에군은 유엔군 방어선으로 철수하여 362고지에 배치되었다.[40] 벨기에군은 학당리에서 철수하는 동안 중공군의 격렬한 포격을 목격했다.[42] 이후 벨기에군은 학당리 전투 참전 용사들에게 학당리 훈장을 수여했다.[44]

4. 2. 오보 논란

일부 언론 기사에서 학당리 전투를 화살머리고지에서 벌어진 전투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학당리 전투가 벌어진 388고지와 화살머리고지(281고지)는 완전히 별개의 장소로 기본 정보인 전투 지역 조사도 하지 않고 작성한 오보 기사이다.

4. 3. 전후 평가 및 기념

벨기에군은 학당리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부대 깃발에 "학당리" 표창을 수여받았다.[21] 현재 벨기에 육군 제3 공수대대가 이 표창을 보관하고 있다.[21] 학당리 전투 참전 용사들의 참전 메달에는 "학당리" 띠가 추가되었다.[22]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웹사이트 The Haktang-Ni battle https://web.archive.[...] 2012-06-08
[5]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6] 간행물
[7]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N. Forces in Korean War (Belgium, Colombia, France, Greece, Luxembourg, Netherlands, Medical Support), 79 Page -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https://web.archive.[...] 2023-06-05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N.Forces in Korean War (Summary), 113 Page - Republic of Korea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https://web.archive.[...] 2023-06-05
[10] 간행물
[11]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2] 웹사이트 Medal for Foreign Theatres of War - unnamed - Belgian - Korean War Medals https://web.archive.[...] 2012-06-10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9-14
[2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9-14
[28]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9-14
[30] 간행물
[31]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32] 간행물
[33]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Brussels)
[34] 간행물
[35] 간행물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the Korean War Royal Museum of the Army and of Military History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